2025년 시즌 새롭게 신설된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 컵이 15일 막을 올린다. 새로운 대회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LCK 컵의 핵심은 피어리스 드래프트가 될 것으로 보인다.피어리스 드래프트란 앞서 진행된 세트에서 양 팀이 선택한 챔피언을 다음 세트에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금지하는 방식을 일컫는다. 지난해에는 LCK 챌린저스 리그(CL)와 중국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 리그(LPL)에서 피어리스 드래프트를 선뵌 바 있다. 특히, LCK CL의 경우에는 하드 피어리스 드래프트를 도입해 볼거리를 제공했다. 하드 피어리스 드래프트의 경우 Bo3에서 3세트까지 진행된다면, 1, 2세트서 2팀이 사용한 20개의 챔피언을 쓸 수 없
2025-01-08
'프린스' 이채환이 LCK 컵부터 해설자로 변신한다. 이채환은 15일 개막 예정인 LCK 컵에 해설과 분석 데스크서 활동한다. 2017년 아이 게이밍 스타서 데뷔한 이채환은 bbq 올리버스, 담원 게이밍(현 디플러스 기아) 등을 거쳐 스피어 게이밍서 활동했다. 2020년 중국 FPX서 잠시 활동했던 이채환은 리브 샌드박스(현 BNK 피어엑스), 북미 플라이퀘스트, 중국 WE서 선수 생활을 한 뒤 은퇴를 선언했다. LCK는 올 시즌 앞두고 해설가 '노페' 정노철이 웨이보 게이밍 감독으로 취임했으며, '캡틴잭' 강형우도 개인 방송 집중을 이유로 분석 데스크를 떠났다. 라이엇 게임즈는 LCK 컵서 이채환과 함께 다양한 인물을 객원 해설로 기용할 예정이다. 라
2023년 인텔 익스트림 마스터즈(IEM) 카토비체 스타크래프트2 부문 우승자인 '올리베이라' 리페이난이 6일 은퇴를 선언했다. 당일까지 온라인 대회에 참가했던 그의 은퇴 선언에 많은 이는 '이제 스타2도 끝인가'라며 놀라움을 나타냈다.2015년 제니스 오브 오리진서 데뷔한 리페이난은 중국 최고의 스타2 테란 선수로 평가받는다. 드림핵, IEM 등 수많은 해외 대회에 참가한 경험을 갖고 있다. 더불어 중국 선수 최초로 GSL 코드S에 출전하기도 했다. '올리베이라'는 2023년 폴란드 카토비체에서 열린 IEM 카토비체서는 팀 바이탈리티 조성주를 꺾고 세계 최고의 자리에 올랐다. 지난해 8월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e스포츠 월드컵서는
왕자영요 인비테이셔널 시즌 3 본선 진출팀을 가릴 한·일 예선이 열린다. 한국을 대표해서는 농심 레드포스가 나선다.왕자영요 e스포츠 공식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계정을 통해 한국과 일본, MENA(중동·북아프리카), 유럽 지역 예선 일정을 공개했다. 18일 열릴 한·일 예선에는 총 4팀이 출전한다. 한국에서는 농심 1팀이 나선다. 나머지는 3팀은 일본의 노셉션과 SBI e스포츠, 스카즈다. 4팀이 치르는 예선에서 우승하는 단 1팀이 2월 21일 마닐라에서 열리는 왕자영요 인비테이셔널 시즌 3 티켓을 따낸다.MENA 지역 예선은 1월 11일과 12일 그리고 18일에 열린다. MENA 예선 역시 한·일 예선과 마찬가지로 총 4팀이 출전하고, 액스 ME
2025-01-07
DRX가 오는 15일 개막하는 LCK 컵을 앞두고 리그 오브 레전드(LoL) 팀 로스터를 공개했다. '쏭' 김상수 감독을 필두로 1군 코치진은 '프로즌' 김태일과 '얼라이브' 노진욱이 맡는다. 노진욱은 지난 시즌까지 2군서 플레잉 코치로 활동했는데 기존 업무를 수행하던 '크러시' 김준서가 군 입대를 하면서 1군으로 올라왔다. DRX 1군은 '리치' 이재원, '스폰지' 배영준, '유칼' 손우현, '테디' 박진성, '안딜' 문관빈이 들어갔다. '스폰지' 배영준과 경쟁할 거로 예상됐던 '주한' 이주한은 2군에서 시작하게 됐다. 2군은 '프로그' 이민회, '주한' 이주한, '예후' 강예후, '플레타' 손민우와 함께 LCKCL 최초 로컬 외국인 선수인 '레이지필' 쩐바오민이
배틀그라운드 국가대표 출신 '애더' 정지훈이 현역에서 은퇴했다.정지훈이 자신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계정을 통해 현역 은퇴 의사를 전했다. 정지훈은 "2024년을 마지막으로 선수 생활을 마무리하게 됐다"며 "앞으로는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려 한다. 아직 정해진 건 없지만, 방송하면서 여러 가지 도전을 해보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그는 고마웠던 이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하며 "여러분이 있었기에 끝까지 버틸 수 있었다"는 말로 인사말을 마쳤다.정지훈은 지난 2018년 T1 소속으로 처음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이머로 데뷔했다. 정지훈은 데뷔와 함께 뛰어난 피지컬을 앞세워 공격력을 드러내며 한국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를 대표
탈론 e스포츠 리그 오브 레전드(LoL) 팀이 4년간 지속됐던 파리 생제르맹(PSG)와의 파트너십을 종료했다. 탈론e스포츠는 6일 SNS에 "PSG과의 기존 계약을 끝으로 LoL 팀은 파트너십을 종료한다"면서 "탈론e스포츠와 PSG의 협력은 e스포츠에서 중요한 이정표와 성과가 점철된 특별한 여정이었다"고 평가했다.이로써 오는 17일 대만 타이베이서 시작되는 LCP 킥오프서는 '탈론'이라는 이름으로 참가한다. 현재 탈론e스포츠서 레인보우식스 팀은 PSG와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있다. 2020년 PCS 서머부터 PSG와 손잡은 탈론e스포츠는 PSG와 파트너십 기간 동안 PCS서 7회 우승을 차지했다. 2021년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에서 열린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
사연 많은 두 팀이 LCK 컵서 같은 조에 들어갔다. 라이엇 게임즈는 6일 유튜브를 통해 LCK컵 드래프트 결과를 공개했다. 지난해 LCK 서머 우승 팀 자격으로 바론 그룹서 1번 시드를 행사한 한화생명e스포츠는 T1을 지명했다. 한화생명e스포츠는 이번 이적시장서 T1 '제우스' 최우제를 영입했다. '제우스'를 놓친 T1은 한화생명서 나온 '도란' 최현준을 데리고 오며 탑 자리를 맞바꿨다. LCK 플레이오프서도 자주 맞붙으며 스토리를 만들었다. '제카' 김건우는 "T1이 최근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롤드컵)서 우승을 차지했고, 잘하는 선수도 많아서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엘더 그룹에 속한 젠지e스포츠는 가장 먼저 디플러스 기아를 선택
넥슨 (공동 대표 강대현∙김정욱)은 6일 자회사 엠바크 스튜디오(대표 패트릭 쇠더룬드)에서 개발한 팀 기반 FPS 게임 ‘더 파이널스(THE FINALS®)’의 e스포츠 대회 '더 파이널스 코리아 오픈 시즌5'를 예고했다. 이번 대회는 '더 파이널스'의 세 번째 e스포츠 대회로, 1월부터 3월까지 3개월간 진행된다. 그중 첫 경기인 1월 최강자전은 오는 18일과 19일 양일간 온라인으로 개최되며, 지난 시즌과 동일하게 캐시아웃 모드로 진행된다. 경기는 3인으로 구성된 4개 팀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쟁하며 긴박감 넘치는 플레이를 선보일 예정이다. 1월 최강자전 참가 신청은 16일까지 더 파이널스 공식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 특히 이번 시즌5에 새
2025-01-06
일본 리그 오브 레전드(LoL) 전설이라고 할 수 있는 데토네이션 포커스 미(FM) 원거리 딜러 '유타폰' 스기우라 유타가 10년 만에 휴식을 선언했다. 스기우라는 지난 4일 자신의 SNS에 "팀의 발표대로 휴식을 취하기로 했다"라며 "10년이라는 오랜 시간 동안 프로로서 활동을 계속할 수 있었던 건 팬 분들의 응원이나 지원이 있었기 때문이다. 정말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2013년 데뷔한 스기우라는 일본 LoL 1세대 프로게이머다. 데토네이션FM서 프로 데뷔를 한 스기우라는 일본 LJL의 역사를 함께했다. 2014년 LJL 윈터서는 미드를 제외한 4개 포지션에 출전한 진기록을 세웠다.2021년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에서 열린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
DRX 발로란트 팀이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VCT) 퍼시픽 킥오프를 앞두고 '베인' 강하빈을 재영입했다. DRX는 5일 SNS에 '베인' 강하빈의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 DRX 전신인 비전 스트라이커즈 연습생 출신인 강하빈은 DRX 2군 팀 DRX 프로스펙트서 활동했다. 이후 마루 게이밍과 중국 청두 올 게이머즈서 임대 생활을 한 강하빈은 올해 초 1군으로 콜업됐다. 지난해 VCT 퍼시픽 스테이지1과 스테이지2서 활동했던 강하빈은 서울서 열린 발로란트 챔피언스서도 주전으로 나섰다. 시즌이 끝난 뒤 자유계약선수(FA) 자격을 얻었던 강하빈은 DRX로 돌아오게 됐다. 한편 DRX는 1군으로 콜업했던 '아탄' 나하준은 2군으로 내렸다. 이로써 DRX는 '마코'
T1 e스포츠 아카데미서 활동했던 '구원' 구관모가 일본팀으로 이적했다. 데토네이션 포커스 미(FM)는 5일 SNS에 2025시즌 로스터를 발표, '스틸' 문건영이 빠진 정글러 자리에 '구원' 구관모를 영입했다고 밝혔다. 2020년 DRX 아카데미서 데뷔한 구관모는 한화생명e스포츠를 거쳐 지난해 말 T1 e스포츠 아카데미에 합류했다. 지난해 LCKCL 서머서 4위를 기록한 구관모는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ASCL)이 끝난 뒤 이적을 위해 팀과 계약을 종료했다. 2024 LJL 서머 결승전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게이밍(SHG)에 패해 탈락했던 데토네이션FM은 이번 시즌을 앞두고 탑 라이너 '레이파키' 시노하라 미나토, 미드 라이너 '아리아' 이
'도인비' 김태상이 선수로 복귀할 것으로 보인다. 김태상은 최근 자신의 개인 방송을 통해 "LPL 팀 관련 프로필 사진을 찍었다"며 선수로 복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2015년 QG 리퍼스(현 징동 게이밍)서 데뷔한 김태상은 뉴비, 징동 게이밍, 로그 워리어스(현 애니원즈 레전드) 등에서 활동했다. FPX에서 뛰던 2019년에는 G2 e스포츠를 꺾고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롤드컵)서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리닝 게이밍(LNG)으로 이적한 김태상은 2022년 롤드컵 지역 선발전에 나섰지만 로얄 네버 기브 업(RNG)에 2대3으로 패하면서 본선에 오르지 못했다. 이후 김태상은 선수 생활 대신 개인방송에 집중했으며 최근에는 은퇴 선수들이 출전한
2025-01-03
유럽 최고 명문 게임단 프나틱이 막강한 전력을 꾸려 리그 오브 레전드 EMEA 챔피언십(LEC) 정상에 도전한다. 프나틱의 마지막 LEC 정상 등극은 2018년이었다.프나틱은 유럽을 대표하는 게임단이다. 1회 LoL 월드 챔피언십(롤드컵) 정상에 등극했던 프나틱은 당시 탑과 정글, 미드와 바텀 듀오로 구성된 '리그 오브 레전드' EU 스타일을 선도했다. 그리고 그들이 주도했던 EU 스타일은 현재 '리그 오브 레전드'의 필수 개념이 됐을 정도다.지난 2013년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LCS) 유럽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출범했던 LEC의 초대 챔피언 역시 프나틱 차지였다. 당시 프나틱은 2015년까지 총 6번의 LCS 유럽 중 무려 5번 정상에 서며 유
베트남 배틀그라운드 최고 선수인 '히마스' 라프엉티엔닷이 케르베로스 e스포츠를 떠났다.케르베로스가 팀의 에이스였던 '히마스'와의 계약 종료 소식을 알렸다. 케르베로스는 지난 펍지 글로벌 챔피언십(PGC) 2024에서 이변의 희생양이 되면서 그랜드 파이널 진출에 실패했다. PGC 최종 무대 진출이 좌절된 케르베로스는 로스터 변화를 꾀했고, 그 결과 팀 최고 '공격수'였던 '히마스'가 팀을 떠났다.지난 2020년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이머 생활을 시작한 '히마스'는 베트남을 넘어 세계 최고의 무력을 자랑하던 선수 중 한 명이었다. 그리고 2021년 여름 케르베로스로 이적하면서 본격적으로 존재감을 드러냈다. 베트남 최강팀 케르베로스는 '히
2025-01-02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 'G.O.A.T.(Greatest of All Time)'로 평가받는 '로키' 박정영이 현역에서 물러난다. 박정영이 자신의 개인 방송을 통해 선수 은퇴를 선언했다. 다나와 어택 제로와의 계약 종료 소식이 알려진 31일 개인 방송에서 박정영은 "2024년 12월부로 은퇴한다"고 밝혔다. 군 입대를 1년여 남겨둔 상황이라고 전한 그는 "은퇴하고 방송을 열심히 달리겠다"는 향후 계획을 전했다.지난 2018년 프로게이머로 데뷔한 박정영은 4번의 메이저 대회 트로피를 들어올리며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 역사상 가장 뛰어난 커리어를 보유하고 있다. 젠지e스포츠 소속으로 데뷔 첫해부터 펍지 글로벌 챔피언십(PGC)의 전신인 펍지 글로벌 인비테이셔널
'쿠로' 이서행이 LCKCL 해설진에 합류한다.복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쿠로' 이서행은 2025 LCKCL부터 해설자로 활동한다. 개막일은 1월 13일로 알려진 상태다. 올해까지 해설을 하던 '린다랑' 허만흥이 지난해 12월 24일 군 입대를 하면서 생긴 빈자리를 이서행이 맡게 됐다.2013년 DRX의 전신인 인크레더블 미라클(IM)서 데뷔한 이서행은 나진 블랙 소드를 거쳐 락스 타이거즈서 활동했다.2016년 LCK 서머서 kt 롤스터를 3대2로 꺾고 우승을 경험한 이서행은 유럽서 열린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롤드컵)서 4강에 올랐으나 SK텔레콤 T1(현 T1)에 2대3으로 패해 결승에 오르지 못했다.아프리카 프릭스(현 DN 프릭스), 중국 빌리빌리 게이밍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순부 VS 끌기, 승자는?
'블루 아카이브' 팬들의 윤하 - 'Thanks to' 떼창
1
kt, LCK 앞두고 서포터 교체? '웨이' 한길 2군 경기 출전
2
[포토] '구끼' 김시경, 'FSL 강력한 우승 후보'
3
[포토] FSL 리허설 중인 윤수빈 아나운서
4
AL-JDG-IG 등, LPL 스플릿2 상위 라운드 진출 팀 확정
5
'페이커' 이상혁, 산불 피해 지원 위해 5천만 원 기부
6
[FSL] DN 프릭스 '구끼' 김시경, 개막전서 '프로스트' 김승환에 2-0 완승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