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e스포츠협회 팀에서 한 번이라도 소속됐던 선수들은 혼자서 모든 것을 알아서 해야 하는 시스템에 혼란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기업 팀은 비행기 티케팅부터 식사 등 자질구레한 일들을 관리자-코칭 스태프 이외의 사무국 직원-가 동행해 모든 것을 처리해 주지만 해외 팀에서 활동하는 선수들은 대부분을 혼자, 알아서 해결해야 한다. 그래서 영어를 하지 못하면 해외 팀에서는 버티기 힘들다.
해외팀 소속 선수들은 해외 대회에 나갔을 때 일정표를 받은 뒤 시간에 맞춰 경기장에 가야 한다. 또한 경기할 장소와 상대, 맵 등도 스스로 파악한 뒤 경기를 준비해야 한다. 한국어를 하는 통역원이 있는 곳도 있지만 매번 그 선수만 따라다닐 수는 없기 때문에 혼자 알아서 해내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영어를 하지 못한다면 그 선수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한국어 통역원이 올 때까지 기다리거나 영어를 잘 하는 선수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하지만 이는 분명 한계가 있다고 해외팀 소속 선수들은 이야기한다.
한 해외팀 소속 선수는 "한국 선수들이 실력이 자신 있어 해외팀에 들어오고 해외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내는 것을 무척 쉽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며 "실력 이외에도 영어가 되지 않으면 절대 성공할 수 없으니 어느 정도의 영어 실력을 갖추고 해외팀에 들어오는 것이 좋다"고 충고했다.
[데일리e스포츠 이소라 기자 sora@dailyesport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