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유진은 상금 1억이 걸린 2013년 WCS 글로벌 파이널에서 우승을 차지한 뒤 2014년에는 인텔 익스트림 마스터즈(이하 IEM) 월드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차지, 1억의 우승 상금을 거머쥐었다. 그리고 2015년 IEM 월드 챔피언십이 사라진 뒤 유일하게 남은 상금 1억 대회인 WCS 글로벌 파이널에서 김유진은 또다시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혹자는 이를 두고 김유진에게 '돈 독이 오른 것 아니냐'는 이야기를 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승부의 세계를 모르고 하는 소리다. 오히려 상금을 획득하고 싶은 욕심이 생기면 이길 수 있는 경기도 지는 경우가 많다. 이겨야 한다는 압박감이 경기를 그르치는 것을 옆에서 많이 봐왔다. 그리고 옆에서 지켜본 김유진은 짠돌이도, 돈 독(?)이 오른 선수도 아니었다.
국내 정규 개인리그는 호흡이 길다. 선수들은 기본기와 더불어 전략을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이 충분하다. 김유진이 가진 장점이 부각되기 힘든 시스템이라는 생각이 든다. 김유진보다 기본기가 좋은 선수들이 워낙 많은 데다 상대 역시 전략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 김유진이 빛을 보기 쉽지 않다.
그러나 단기 토너먼트에서는 이야기가 다르다. 평소에도 항상 빌드를 고민하고 심리전에 대한 연구를 게을리 하지 않는 김유진은 매 세트, 매 경기마다 스토리를 짜고 전략을 가지고 나온다. 즉흥적으로 전략을 짤 수 있을 정도로 유연하다. 그가 항상 다른 전략을 고민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다른 프로게이머들이 일주일이 걸려서야 완성할 전략을 김유진은 단 몇 시간 만에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돈에 대한 욕심이 없기(?) 때문에 져도 된다는 '쿨'한 생각으로 경기에 임한다. 과감한 전략을 사용하는 데도 거침이 없다. 그래서 상대 선수들은 허를 찔린다. 상금이 높을수록 김유진의 돈 독이 오르는 것이 아니라 상대의 욕심이 커지기에 김유진의 전략은 더욱 잘 통할 환경이 만들어 지는 것이다.
어떤 분석을 해도 김유진이 '우승 상금 1억' 대회에서 강한 이유는 설명이 되지 않을 것 같다. 그저 김유진이 배포가 크고 노력하는 선수라는 누구나 할 수 있는 말이 가장 정답이라는 생각이 든다.
"김유진 선수의 WCS 글로벌 파이널 두번째 우승,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이소라 기자 (sora@dailyesport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