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에어는 이 과정에서 4번의 우승과 5번의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4 시즌 2, 4라운드에서 우승하면서 라운드 결승 도입 첫 해 가장 많은 라운드 우승컵을 가져갔던 진에어는 통합 포스트 시즌에서 kt에게 덜미를 잡히면서 최종 우승으로는 이어가지 못했다.

2015 시즌에는 1라운드부터 3라운드까지 세 번 연속 라운드 결승에 올라갔지만 모두 준우승에 그쳤고 통합 결승전에서도 SK텔레콤 T1에게 고배를 마시면서 준우승에 머물렀다.
2016 시즌 진에어는 다시 한 번 부활의 날갯짓을 펼쳤다. 1라운드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진에어는 2라운드에서 kt 롤스터를 꺾으면서 5연속 준우승의 한을 풀어냈고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3라운드 결승전에서도 정상에 오르면서 처음으로 연속 라운드 우승을 차지했다.
진에어의 마지막 단추는 통합 결승전에서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리는 것. 지난 2015년에는 경험 부족으로 인해 막강한 전력을 갖춘 SK텔레콤에게 막혔지만 1년 뒤인 2016년 진에어는 큰 경기 경험도 적지 않다.
게다가 프로리그에 들어서면 패하지 않는 테란 조성주와 가을 바람만 맞으면 살아나는 프로토스 김유진이 버티고 있고 창의적인 전략의 대가인 이병렬도 좋은 컨디션을 유도하고 있다. 식스맨인 김도욱 또한 지난 3라운드 결승 때와 같은 실력만 보여준다면 진에어는 통합 우승을 찾하기에 충분한 전력을 갖췄다.
차지훈 진에어 감독은 "프로리그 최다 결승 진출팀인 우리에게 없는 유일한 통합 우승컵을 차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남윤성 기자 (thenam@dailyesport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