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와 같은 시스템은 2013년부터 본격적으로 가동됐고 신기하게도 이후부터 두 대회를 연이어 우승한 선수는 나오지 않았다. 그만큼 WCS에 출전하기 위해 경쟁이 치열하게 진행됐다는 뜻이다.
지금까지 4년 동안 진행된 GSL과 2015년부터 도입된 스타리그를 분석해보면 두 시즌 연속 결승에 진출한 선수는 꽤 된다. 2013년 GSL 시즌3부터 2014년 시즌3까지 네 시즌 연속 결승에 올랐던 SK텔레콤 T1 어윤수가 최다 연속 결승 진출 기록을 세웠다. 그 뒤로는 CJ 엔투스의 저그 한지원이 2015년 GSL 시즌2와 시즌3에 연거푸 올랐고 스타리그 시즌3에서도 결승에 진출하면서 양 방송사 동시 결승 진출이라는 기록도 세웠다. 스타리그에서는 2015년 네이버 스타리그 시즌1과 스베누 스타리그 시즌2에 SK텔레콤 T1의 테란 조성주가 연속 진출한 기록을 갖고 있다.
우승자 가운데에는 SK텔레콤 T1의 저그 박령우가 유일하게 연속 결승 진출에 성공한 케이스다. 2016년 스타리그 시즌1에서 김대엽을 상대로 4대2로 승리하면서 정상에 오른 박령우는 바로 다음 시즌인 시즌2에서도 결승 진출에 성공했다.
오는 11일 서울 강서구 화곡동 KBS 스포츠월드 제2 체육관에서 열리는 스타크래프트2 스타리그 시즌2 결승전에서 박령우가 강민수를 상대로 승리한다면 WCS 시스템 도입 이후 처음으로 2연속 우승을 차지하는 선수로 기록된다.
남윤성 기자 (thenam@dailyesports.com)
![[스타리그 결승 예고] 박령우, WCS 도입이후 2연패 첫 주인공 되나](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16091100080497669_20160911001123dgame_2.jpg&nmt=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