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팀 리그의 매력은 게임 외적인 부분에서도 드러난다. 흔히 '케미스트리'라 불리는 선수들 간의 호흡과 동료애는 리그를 더욱 파이팅 넘치게 만들어준다.
이런 팀 리그의 묘미는 스타크래프트2처럼 1대1로 플레이하는 종목마저 끌어들였다. 14년이라는 시간을 장수한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가 막을 내리자 트위치는 VSL 팀리그를 개최했다. 이신형, 박령우, 변현우 등 내로라하는 선수들이 각기 팀을 꾸려 맞붙었고, 승리한 선수와 하이파이브로 기쁨을 나눴다. 개인리그 결승전에서나 볼 법한 유명 선수들의 맞대결을 쉽게 볼 수 있고, 선수들의 생생한 표정을 관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팀 리그는 충분한 매력을 뽐냈다.

1대1 카드 대전 형식의 하스스톤으로 팀 리그 라니. 생소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처음 해 본 팀 리그에 선수들의 반응은 긍정적이었다. 종합 우승을 차지한 오버로드의 '이카루스' 박새인은 "개인 리그는 혼자서 부담감과 싸워야 하는데 팀 리그는 혹시 패하더라도 팀에 의지할 수 있어 좋았다"고 말했다. '포시아' 이동재는 "내가 못하는 점을 쉽게 발견할 수 있어 실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됐다"고 팀 리그를 치른 소감을 전했다.
동료들을 적으로 만날 수 있는 개인 리그와 달리 온전히 한 팀으로 치르는 팀 리그인만큼 신뢰감은 쌓여간다. 더욱이 머리를 맞대고 대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서로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메타에 적응하며 경기력을 향상시킨다.
개인 리그만의 특색이 있듯 팀 리그만의 장점도 있다. 선수들의 생생한 표정과 경기력만으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던 팀 리그. 앞으로도 다양한 종목에서 이어지길 바란다.
이윤지 기자 (ingji@dailyesport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