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석] 미래가 불안한 컨텐더스 팀들](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18032123443687256_20180321235521dgame_1.jpg&nmt=27)
하지만 게임단들의 분위기는 다르다. 당장 내년까지 팀 운영을 지속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곳이 많아졌다. 오버워치 에이펙스에 비해 컨텐더스의 수익성이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먼저 상금이 크게 줄어들었다. 에이펙스와 컨텐더스의 총 상금 규모는 연간 6억 원(시즌당 2억 원)으로 차이가 없다. 하지만 분배 방식과 파이트 머니에서 차이가 확연히 드러난다.
컨텐더스는 우승 상금이 크게 줄어들었다. 상금은 미화로 지급되는데, 우승팀이 3만 달러를 받는다. 한화로 환산하면 약 3천 2백만 원이다. 우승팀의 상금이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 것이다. 준우승팀 상금은 1만 2천 450달러, 4강에 오른 팀은 7천 5백 75달러에 그친다.
컨텐더스는 부족한 순위별 상금을 파이트 머니로 보완할 수 있게 했다. 파이트 머니를 맵 별로 지급하는데 승리팀에겐 587달러, 패배팀에겐 330달러가 주어진다. 무승부가 나올 경우엔 양팀에 458.50달러씩 돌아간다. 한 경기당 4개 맵이 진행되고, 파이트 머니는 정규 시즌에만 지급되기 때문에 무실세트로 우승한 팀이 받을 수 있는 상금은 3만 달러에 1만 1천 740달러가 더해진다.
블리자드는 컨텐더스 입장권 수익을 팀에게 나눠준다고 발표했다. 컨텐더스 경기장 좌석 규모는 350석이고 매 경기당 입장료는 5천 원이다. 플레이오프부터는 티켓 가격이 상승한다. 티켓 판매처에 돌아가는 수익을 배제하고 전 경기 매진이라 칠 경우 결승까지 치르는 팀이 받을 수 있는 티켓 수익은 최대 780만 원 정도다.
결국 앞의 모든 상황을 고려해 특정 팀이 무실세트 우승에 전 경기 매진이라는 극단적인 상황을 가정한다면 그 팀이 가져갈 수 있는 한 시즌 수익은 5천 1백 70만 원 정도다. 에이펙스 우승 상금의 절반 규모다.
하지만 모든 팀이 티켓 수익을 가져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데일리e스포츠 취재 결과 팀의 인기도와 관련된 특정 조건을 갖춘 팀에게만 티켓 수익이 돌아갈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에이펙스의 파이트 머니는 총 상금에 포함되지 않았다. 에이펙스에서는 조별 리그 경기마다 승리팀에게 80만 원, 패배팀에겐 20만 원을 지급했는데 이는 OGN 제작비를 통해 마련된 것으로 확인됐다. 두 대회를 비교하면 상위권 팀이 가져갈 수 있는 컨텐더스의 상금은 크게 줄어들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컨텐더스에 출전 중인 한 게임단 관계자는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도 슈퍼리그를 없애고 HGC로 바꿔 우승팀 상금을 크게 줄여놓더니 오버워치에서도 똑같은 짓을 하고 있다"면서 "상금을 더 올려야 팀들이 유지될 수 있다. 리그 오브 레전드처럼 각 팀마다 지원금을 주는 것도 아니지 않은가"라고 성토했다.
문제는 상금뿐만이 아니다. 컨텐더스 팀들은 상위 리그인 오버워치 리그의 선수 이적료 조항에 대해서도 큰 불만을 갖고 있다. 오버워치 리그 팀은 컨텐더스에서 뛰고 있는 선수와 계약을 원할 경우 원 소속팀을 배제한 채 계약을 진행할 수 있으며, 계약 연봉의 25%만 이적료로 지급하면 된다. 오버워치 리그 선수 최저 연봉이 5만 달러이니 우리 돈으로 약 1천 3백만 원이면 선수를 데려갈 수 있다. 최근 오버워치 리그 팀에 선수를 보낸 한 게임단 관계자는 "우리는 계약서를 구경조차 못했다"며 "선수에게 도움을 주고 싶어도 그럴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이적료를 아끼기 위해 최저 연봉으로 계약한 뒤 연봉을 조정하는 식으로 시스템을 악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 오버워치 리그 첫 계약기간에는 연봉을 재조정한 선수들이 일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랜 시간에 걸쳐 선수를 육성시켜봐야 제대로 된 보상조차 받지 못하고 선수를 내주는 꼴인데, 팀 입장에서는 신인을 다시 키워야 하니 비용면에서도 큰 손해를 보는 셈이다.
팀마다 차이는 있지만 오버워치 게임단을 운영하는 데 있어 평균적으로 월 1천 만 원 안팎의 지출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1년을 운영하면 1억 2천만 원 정도가 나가는 셈인데, 앞서 언급한 대로 컨텐더스에서 세 시즌을 모두 우승하고 최저 연봉에 맞춰 선수 2명을 이적시켜도 팀에 떨어지는 수익은 고작 5천만 원 수준에 불과하다.
상금이나 이적료로 충당하지 못하는 금액은 후원사 유치로 해결해야 하지만 현재 오버워치의 인기로는 상황이 녹록치 않아 보인다. 지난해 5월까지만 해도 PC방 점유율 20%를 가뿐히 넘기면서 '국민 게임'이라 불렸던 오버워치는 불법 프로그램과 대리 게임, 비매너 게이머 등의 문제로 시름시름 앓으며 그 인기가 점점 하락하더니 올해 3월 20일 기준으로는 점유율 7%도 넘기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희망은 있다.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는 트위치TV에서만 1만에서 2만여 명이 시청하고 있고, 인기팀의 경기는 순식간에 매진될 정도다. e스포츠로서의 인기는 여전하다.
하지만 게임단 상황이 열악한 시점에서 이 인기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장담할 수는 없다. 다수의 게임단이 시즌이 시작되기 전 게임단의 운영 지속 여부를 놓고 심각한 고민을 했지만 대부분 관계자들이 "상황이 어렵지만 우선 1년은 해보겠다"며 컨텐더스 참가를 결정했다. 그러나 현재 컨텐더스의 수익성만 놓고 보면 1년 뒤에 몇 팀이나 남을지는 미지수다. 블리자드가 상금을 상향 조정하거나 도타2처럼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게임단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게임단 운영이나 후원사 유치가 어려워진 것을 게임단의 능력 부족으로만 치부해서는 안 된다. 게임단의 능력 탓으로 돌리기엔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오버워치의 PC방 점유율이 오버워치의 현 주소를 말해주고 있다. 블리자드는 현 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상황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오버워치 e스포츠의 탄탄한 미래를 위해 컨텐더스 팀들이 자생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주는 것이 종목사인 블리자드가 해야 할 역할이다.
이시우 기자(siwoo@dailyesport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