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버 업 네버 인’은 퍼팅에 관한 한 최고의 명언이라고 생각한다. 골프는 홀에 볼을 넣는 게 핵심이다. 마지막에 퍼팅을 잘못하면 아무리 드라이버를 잘 치고, 아이언을 멋지게 쳤더라도 스코어가 엉망일 수밖에 없다. 골프를 잘 하는 골퍼와 못하는 골퍼의 가장 큰 차이점은 이 말을 제대로 실행하는 가의 여부에서 드러난다. 마치 전설적인 미국 프로야구 스타 요기 베라가 말했다는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It ain’t over till it’s over)’는 말이 야구에서 대표적인 명언이 됐듯이 ‘네버 업 네버 인’은 골프 퍼팅을 가리키는 슬로건 가운데는 단연 압권인 듯 싶다.
보통 3-4m 퍼팅은 프로나 아마골퍼나 모두 부담스럽기는 마찬가지다. 반드시 넣어야 좋은 스코어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적당한 거리감 때문에 ‘욕심’이 생기고 ‘부담’도 느낄 수 밖에 없다. 이 때 홀을 지나지 않으면 절대 들어갈 수 없다는 말이 ‘네버 업 네버 인’이다.
하지만 주의할 게 있다. ‘네버 업 네버 인’도 단점을 갖고 있다. 어설픈 골퍼들이 이 말을 철썩같이 믿고 세게 치다보면 ‘버디’가 ‘버기’가 되는 일도 생긴다 .버디를 잡으려다가 홀을 지나쳐 파도 못잡고 보기를 하는 경우다. 프로들도 이러한 단점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홀당 승부가 벌어지는 매치플레이에서는 ‘네버 업 네버 인’ 전략의 공격적인 방법을 활용하며 쏠쏠한 재미를 보지만 스트로크플레이에서는 상황에 따라 맞춰서 퍼팅을 하기도 한다.
‘네버 업 네버 인’은 쉽게 말해서 부족한 것보다는 넘치는게 좋다는 뜻이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그렇게 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과유불급(過猶不及), 즉 지나치면 미치지 못한다는 동양의 격언도 반대의 의미로 새겨볼만한 말이다. ‘논어’의 ‘선진편(先進篇)에 나오는 말로 ’중용(中庸)‘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르는 의미이다.
‘네버 업 네버 인’과 ‘과유불급’은 깊이 새겨야 할 격언일 수 밖에 없다.
[김학수 마니아리포트 편집국장 kimbundang@maniareport.com]
관련뉴스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 용어 산책 115] 골프에서 ‘릴리프(Relief)’와 ‘드롭(Drop)’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 용어 산책 114] ‘언플레이어블 볼(Unplayable Ball)’은 왜 번역어가 없는 것일까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 용어 산책 113] 왜 ‘로스트볼(Lost Ball)’이라 말할까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 용어 산책 112] ‘골프(Golf)’와 ‘대통령(President)’은 어떤 관련이 있을까
-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 용어 산책 111] ‘워터 해저드 내에서의 볼(A Ball In The Water Hazard)’을 치려면 어떻게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