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I 분석] 마지막 5세트에서 승부 갈랐던 '케리아'의 라칸](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30515111243034977d8bc5f1a811215024690.jpg&nmt=27)
T1은 13일 영국 런던 코퍼 박스 아레나에서 열린 2023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SI) 브래킷 스테이지에서 젠지 e스포츠를 풀세트 접전 끝에 제압했다.
이 날 승부를 가른 순간은 5세트 마지막 미드 지역에서의 한타였다. '딜라이트' 유환중의 알리스타가 '점멸-w-q' 연계로 이니시에이팅을 열며 '구마유시' 이민형의 자야를 노렸으나, 자야가 궁극기와 점멸을 모두 활용해 생존해나가며 한타를 대승으로 이끌었다. 해설진과 팬들은 "자야가 상대를 빨아들였다"면서 자야의 활약에 주목했다.
![[MSI 분석] 마지막 5세트에서 승부 갈랐던 '케리아'의 라칸](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30515111321059827d8bc5f1a811215024690.jpg&nmt=27)
물론 이 한타는 애초부터 T1에게 유리한 구도의 한타였던 것은 사실이다. 젠지의 이니시에이팅이 칼같이 연계되지 않았기 때문에, 자야의 궁극기가 켜진 순간 상대가 빨리는 것은 기정사실이었다. 또 '페이커' 이상혁이 상대 원거리 딜러를 물어내 1 대 1 구도로 잡아낸 것도 큰 역할을 했다. 그러나 라칸의 활약이 없었다면, 상대 탑과 미드 라이너를 빠르게 잡아낼 수는 없었을 것이다. 한타의 패배를 느낀 정지훈의 아리가 스킬 연계 전 생존을 도모했다면, 게임이 그 장면에서 끝나지 않았을 수도 있다. 그런 의미에서 류민석의 라칸이 보여준 플레이는 주목받지는 못했으나 5명을 모두 잡아내 게임을 끝내는 큰 역할을 했다.
대부분의 롤 경기에서 딜러가 주목받는 장면이 더 많다. 딜러의 생존 여부와 스킬 활용이 게임에 그만큼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페이커 쇼크웨이브'로 알려진 T1과 EDG의 기적의 한타 장면에도 '울프' 이재완의 활약이 숨어있었다는 건 이미 유명한 사실이다. 지난 T1전에서도 상대를 모두 빨아낸 이민형의 자야 옆에는 류민석의 라칸 활약이 붙어있었다는 사실에 눈길이 가는 이유다.
허탁 수습기자 (taylor@dailyesport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