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좌담] e스포츠 기자들이 말한다 5편](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1109091328030049773dgame_1.jpg&nmt=27)
PART2. 글로벌화와 국산 종목 추진 성과
PART3. 블리자드 지재권 협상 타결 의미
PART4. 한국 e스포츠 위기 원인은 무엇인가
PART5. 한국 e스포츠 재도약을 위한 동력
데일리e스포츠의 이택수 편집국장이 사회를 맡았고 노컷뉴스 지봉철, 스포츠경향 조진호, 스포츠서울 김진욱, 스포츠조선 남정석, 일간스포츠 권오용 기자가 대담에 참가했습니다.e스포츠를 전문적으로 취재하는 기자들은 한국 e스포츠의 현황과 문제점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요. 5편에서는 협회와 회장사의 개혁이 왜 필요한지, 한국 e스포츠가 재도약을 하기 위해서느 어떤 동력이 필요한 지 들어봤습니다.
◆협회-회장사의 개혁
![[기획좌담] e스포츠 기자들이 말한다 5편](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1109091328030049773dgame_2.jpg&nmt=27)
조진호(이하 조)=위기를 돌파하려면 힘 있는 리더십이 필요합니다. 특히 이번 위기처럼 프로게임단의 숫자가 줄어드는 시점에는 회장사와 협회장이 직접 나서는 것이 가장 빠르고 확실한 위기 극복 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 회장사가 굳이 나서기 싫다면 사무총장에게 역할을 맡기고 신임해야만 합니다.
남정석(이하 남)=사무총장 제도에 대한 검증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현 방식은 협회장사와 사무총장 사이에서 시너지가 나기 어렵습니다. 특히 사무총장 개인의 능력이 어떻냐에 따라 협회 사무국은 물론, 이사사까지도 영향을 받습니다. 사무국의 효율적인 운영은 물론 이사사의 협력을 이끌어내고 있는지 검증하는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고 협회장사인 SK텔레콤의 모니터링도 필수적입니다.
![[기획좌담] e스포츠 기자들이 말한다 5편](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1109091328030049773_3.jpg&nmt=27)
지봉철(이하 지)=3기부터 협회가 운영되는 모습을 보면 회장사인 SK텔레콤도 협회 사무국과 분리해서 생각하는 분위기가 감지됐습니다. 협회장사를 맡고 있는 SK텔레콤은 협회 사무국, 나아가 협회 이사사까지도 한 배에 탔음을 받아들이고 어떻게 노를 저어가야 하는지, 어느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 공유하고 비전을 제시해야 합니다. 사무국이 잘못했을 때 우리 잘못이 아니니까라고 생각하고 남의 탓을 해버린다면 문제를 해결할 수 없죠. 내적 갈등과 불신만 커질테니까요.
협회 사무국의 관리 책임도 협회장사의 몫입니다. 사무총장은 임기가 한정적이고 권한도 크지 않습니다. 만약 SK텔레콤이 현재의 사무총장 제도에 대해 믿음을 갖지 못한다면 상임 이사 제도로 다시 돌아가서 유기적인 조직을 꾸리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권오용(이하 권)=회장사가 어떤 행보를 보이느냐가 가장 중요하다고 봅니다. 사무총장제든, 상임 이사제든 시스템을 바꾸는 것도 회장사의 권한이니까요. 회장사가 어떤 마인드를 갖고 있고 로드맵을 어떻게 제시하느냐에 따라 4기 협회의 성패가 갈릴 것이라고 봅니다.
◆e스포츠 재도약을 위한 동력은 무엇인가?
사회=e스포츠 업계가 중차대한 위기 상황에 처한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여기 모이신 분들의 직업이 기자이기 때문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역할은 무엇인지 가장 쉽게 제시할 수 있을 것 같네요. 그리고 업계가 재도약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요?
조=재미를 이끌어 내고 팬들을 모아야만 기업들이 투자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언론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부분은 스타 플레이어를 만들고 팀이나 업계를 조명하는 일이겠죠. 이들을 알려서 팬이 모이게 하고 팬들의 입맛에 맞는 리그 구조를 고민해서 제시한다면 스타크래프트 리그 뿐만 아니라 국산 e스포츠 종목들도 힘을 받으면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 봅니다.
![[기획좌담] e스포츠 기자들이 말한다 5편](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1109091328030049773_4.jpg&nmt=27)
2008년 e스포츠 기자단 간사
지=어느 기업이 협회장사가 되든, 누가 협회장을 맡든, 사무총장이 누구든, 해결책을 찾기 쉽지 않은 상황임은 틀림 없습니다. 어려운 상황일수록 해결하기 위해 뛰는 사람들에게 박수와 응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수 차례 위기를 맞았고 극복했지만 공치사를 해주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았어요. 왜 그렇게 풀었냐는 비판은 수도 없이 나왔지만요. 그렇게 되니까 일을 하는 사람들로서는 힘이 더 빠지지요.
애정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긍정적인 신호를 계속 불어 넣어줘야 합니다. e스포츠는 아직 이윤을 창출하는 구조가 아니라 투자하는 패턴을 극복하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기업을 끌어들이는 작업이 더욱 지난하겠죠. 이럴 때 남아 있는 사람들이라도 힘 받으면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응원해야 합니다.
![[기획좌담] e스포츠 기자들이 말한다 5편](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1109091328030049773_5.jpg&nmt=27)
e스포츠 기자단 초대 간사
김=힘이 어디에서 나와야 하는가를 고민할 시점입니다. 협회의 힘은, e스포츠 업계만을 놓고 보면 힘은 자금력에서 나옵니다. 더 많은 투자를 하는 기업, 더 많은 후원을 하는 스폰서를 영입해야 하죠. 그리고 또 하나는 팬의 성원을 받으면서 리그나 게임단 운영이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지난 2년은 이를 절실하게 깨달은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슬기롭게, 영민하게 대처하지는 못했다고 생각하지만 눈 앞에 닥친 과제부터라도 혜안을 갖고 풀어 가야 한다고 봅니다.
![[기획좌담] e스포츠 기자들이 말한다 5편](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1109091328030049773_6.jpg&nmt=27)
2007년, 2010년부터 현재까지 e스포츠 기자단 간사
남=의사결정구조에 대해서도 변화를 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전략 위원회 중심으로 돌아가는 구조의 회의나 의사결정은 균형 감각을 갖기 어렵습니다. 게임단의 사정만 고려할 뿐이지요. 팬의 목소리나 외부의 시선들에 대해 전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층위의 사람들이 중지를 모으는 것이 합리적이고 균형잡힌 의사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기자들도 e스포츠에 대해 더 깊은 관심과 밀도 있는 취재를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동안 선수와 게임단, 리그 중심으로 취재를 했다면 행정적인 측면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봅니다.
[정리=데일리e스포츠 남윤성 기자 thenam@dailyesports.com]
*T store와 함께 더 스마트한 생활(www.tstore.co.kr)
◆관련기사
[기획좌담] e스포츠 기자들이 말한다 1편
[기획좌담] e스포츠 기자들이 말한다 2편
[기획좌담] e스포츠 기자들이 말한다 3편
[기획좌담] e스포츠 기자들이 말한다 4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