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게임넷의 살림을 맡고 있는 윤재웅 사업팀장은 '도타2'의 컨셉트를 '쉬운 게임'으로 잡았다. 이를 위해 온게임넷 재미위주의 프로그램인 '켠김에왕까지', '더테스터', '한판만', '영웅전'에 '도타2'를 편성했다. 진입장벽이 높다고 알려진 '도타2'를 이 프로그램을 통해 쉽게 즐기는 방법을 알려주겠다는 취지다.
"일단 '도타2'가 어렵다는 인식을 깨는 게 목표입니다. 공부하듯이 게임을 가르치긴 보단 흥미 위주의 방송을 통해 재미를 먼저 느낀 뒤 게임을 알아가는 의욕을 갖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해서 게이머들이 '도타2'에 익숙해지면 '도타2' 초청전(인비테이셔널) 이벤트 대회를 통해 이 게임의 매력이 무엇인지, 고수들의 플레이가 어떤지를 보여주는 거죠. 그 다음엔 게이머들이 직접 참여해서 게임을 하면서 진짜 재미에 빠져들게 하는 게 목표입니다."
방송 역시 '연착륙'에 초점을 맞췄다. 게이머들이 호기심을 자극해 '어, 저 게임 재미있어 보인다'는 인식을 심어준다면 일단 성공이다. 10월 28일부터는 해외 8개 팀과 한국 4개 팀이 참가하는 초청전이 한 달 동안 열린다. '도타2'가 해외에서 서비스가 먼저 시작돼 국내외의 수준 차가 있기에 해외 팀을 많이 초청했다고.
"초청전은 파이트머니를 걸고 싸우는 형식이 될 거예요. 해외 팀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게 승리수당도 적지 않을 겁니다. 대신 최대한 많은 팀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해서 축제처럼 즐겁게 만들어야죠."
초청전은 정소림 캐스트와 이성원, 오승규 해설이 나선다. 중계진은 '도타2' 매력에 푹 빠진 상태라 시청자들에게 이 게임의 재미를 잘 전달할 수 있을 거라 확신했다.
윤 팀장은 LOL을 발굴해 온게임넷의 주력 프로그램으로 키운 주요 인물. 그런 입장에서 '롤 타도'를 외치는 '도타2'를 마냥 응원할 수는 없을 터. 짓궃은 질문을 던졌다.
"둘 중 누굴 더 응원할 거냐고요? 음…어려운 질문이긴 한데, 예전 스타크래프트:브루드워(이하 스타1)가 생각나네요. 스타1을 시작으로 RTS 장르가 번창하기 시작했잖아요, 결과는 스타 하나만 남긴 했지만, 그러한 시도들이 시장을 넓히는데 한 몫 했다고 봐요. 마찬가지로 비록 LOL이 시장 점유율이 높고 시청률이 잘 나오긴 하지만 '도타2' 같은 동일 장르의 경쟁작이 나와야 AOS 장르를 롱런시키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봅니다. 그래서 제 답은 '둘 다 응원한다'입니다.
[데일리게임 곽경배 기자 nonny@dailyga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