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석] '페이커'가 없던 한 달...숙제 남긴 LCK](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3081413470106518b91e133c1f61742314.jpg&nmt=27)
20년이 지난 현재 우리는 e스포츠 최고의 스타인 T1 '페이커' 이상혁이 없는 한 달을 경험했다. 지난 달 2일 LCK 서머 스플릿 1라운드 농심 레드포스와의 경기 이후 손 부상으로 이탈한 이상혁은 한 달 간 휴식과 함께 치료를 병행했다. 당시 6승 2패로 LCK 서머 스플릿 3위를 달리고 있던 T1은 '페이커'가 빠지자 1승 7패를 기록하며 5위로 내려앉았다. T1의 부진과 함께 LCK의 시청자 수도 절반 가까이 빠졌다.
e스포츠 리그 시청자 수를 집계하는 e스포츠차트에 따르면 70만 후반(기준 트위치, 유튜브 공식 방송)을 기록하던 T1의 시청자 수는 '페이커'가 빠진 이후 40만 초반까지 떨어졌다. 2라운드 중반 경기는 30만 대로 내려갔을 거라는 추측도 있다. 하지만 '페이커'가 돌아오자 시청자 수는 원래대로 돌아갔다.
LCK 이정훈 사무총장은 최근 데일리게임과의 창간 15주년 인터뷰서 "LCK는 앞으로 10년은 건재할 것이며 부자가 경기장에서 같이 게임을 볼 수 있는 순간이 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우리는 '페이커'가 없는 한 달 동안 어떤 일이 있었는지를 경험했고 '페이커'가 없는 LCK를 준비해야할 시기가 일찍 다가왔다는 것도 알게 됐다.
![[기자석] '페이커'가 없던 한 달...숙제 남긴 LCK](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3081413471206702b91e133c1f61742314.jpg&nmt=27)
과거 스타크래프트:브루드워 해설을 맡은 엄재경 만화가는 선수들의 플레이 스타일을 파악해서 '황제' 임요환, '폭풍저그' 홍진호, '악마토스' 박용욱 등 별명을 지었는데 이건 현재까지도 그들에게 없어서는 안될 별명이 됐다. LCK서도 이런 걸 도입해 '페이커' 뿐만 아니라 많은 선수가 주목받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아니라면 리브 샌드박스(부산)가 처음으로 시도했고 현재 중국 LPL이 채택한 지역 연고제를 도입해 선수 개인이 아닌 팀이 주목받게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페이커'가 없는 LCK는 어떨까. 상상하기 싫은 시나리오지만 언젠가는 다가올 것이다. '페이커'가 없더라도 LCK가 오랜 시간 동안 팬들에게 사랑받기 위해선 지금부터라도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야 한다.
김용우 기자 (kenzi@dailyesport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