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LJL에서는 스프링과 서머서 모두 최하위에 머물렀던 V3 e스포츠를 제외하고 나머지 팀이 모두 한국 선수를 보유했다. 그리고 한국 선수들은 저마다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며 맹활약했다. 그런 만큼 올 시즌에도 LJL팀들의 한국 선수 선호도는 여전히 높다. 실제로 대부분의 팀들이 한국 선수와의 재계약, 혹은 신규 영입을 추진했다.
현재까지 LJL 6팀 중 데토네이션 포커스 미(DFM)을 제외한 5팀이 2024년 시즌을 위한 로스터를 확정 지었다. 먼저 지난해 원거리 딜러 '로컨' 이동욱, 미드라이너 '제트' 배호영, 정글러 '원스' 장세영 세 명의 한국 선수를 보유하며 스프링 스플릿 정규 리그 1위를 차지했던 센고쿠 게이밍은 이번에도 세 명의 선수를 로스터에 포함하며 대권에 도전한다.

지난해 단 한 명의 한국 선수도 쓰지 않았던 V3 e스포츠는 스프링과 서머 정규 리그서 단 한 번의 매치 승도 거두지 못했다. 그래서인지 눈에 띄는 변화를 가져갔다. 새 시즌을 위해 두 명의 한국 선수를 영입한 것. V3는 지난해 펜넬에서 뛴 탑 라이너 '타나' 이상욱과 튀르키예 TCL의 다크 패시지에서 뛴 원거리 딜러 '비니' 홍성빈을 합류시켰다.
액시즈와 크레스트 게이밍 액트의 합병으로 탄생한 액시즈 크레스트는 두 명의 한국 선수를 보유하게 됐다. 2023년을 크레스트 게이밍 액트에서 보냈던 '카신' 김대희가 액시즈에서도 정글러를 맡고, 다년간의 LCK 경험으로 한국 팬들에게도 익숙한 '쏠' 서진솔이 원거리 딜러로 팀에 합류했다.
버닝코어는 작년부터 함께 한 정글러인 '이엘' 전성현과의 재계약에 성공했다. 반면 미드를 책임졌던 '다이스' 홍도현과는 결별을 선택했다. 하지만 새로운 미드라이너로 TCL 다크 패시지에서 뛰었던 '줄' 강동수를 영입하면서 작년과 마찬가지로 올해 역시 두 명의 한국 선수가 포함된 로스터로 시즌을 치르게 됐다.
강윤식 기자 (skywalker@dailyesports.com)